고려와 조선 시대의 등용

2023. 10. 10. 22:13생활정보

728x90

고려시대에는 과거가 없이 등용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고려시대의 관리 체계는 기본적으로 성적과 출신지에 따라 결정되었지만, 일부 예외적인 사례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벗어날 수도 있었습니다.

1.장용급제: 장용급제는 고려시대의 관리 시험 체계 중 하나였습니다. 이 시험은 성적과 출신지에 의존하지 않고, 재능과 능력을 인정받은 사람들을 등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형평성과 능력 중심의 등용이 이루어질 수 있었습니다.

2.왕실 직접 추천: 왕실은 탁재로(胁才露)라고 불리우는 비공식적인 시험을 통해 인재를 발굴하거나, 자신들이 직접 사람을 추천하여 등용할 수도 있었습니다. 이 경우 출신지나 성적보다 개인의 실력과 업적이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기도 했습니다. 3.귀족 계열: 고려시대에는 귀족 계열에서 나온 인물들이 관료로서 활동하였습니다. 귀족 가문에서 나온 자손들은 종친(宗親)으로서 특권을 가지며, 그들 중 일부가 공무원으로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종친 내에서 상호 지원 및 추천 제도가 존재하기도 했으며, 종친간의 연결망을 통해 인사 결정이 이루어질 때도 있었습니다.

4.전승 문화와 제자제: 전승 문화와 제자제를 바탕으로 한 학문계나 기능 계급체계에서는 선배나 스승의 후계자로서 등용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선조와 후손 간의 사사(師事) 관계에서 스승은 그 후손에게 학문 지식 및 경험 전수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그 후손은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자신의 역량을 증명하여 정치나 문학 분야에서 발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인재가 등용되기도 하였으며, 단순한 성적과 출신지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https://www.coupang.com/vp/products/6937071907?itemId=16808327025&lptag=A01041549&redirect=landing&searchId=0bd7c23e15b848f3b140114eae2f600d&sourceType=brandstore-baseline_list&spec=10799999&src=1139998&storeId=105537&subSourceType=brandstore-baseline_list&vendorId=A01041549&vendorItemId=87659568313&wPcid=43432520044174669705925

 

한미 글루코사민100 관절연골 90정 3병

COUPANG

www.coupang.com

조선시대 과거제도는 다음과 같은 단계와 형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1.군사정권 (1392-1592): 조선시대 초기에는 왕실 내부에서 군사정권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왕실의 권력을 강화하고 통치 체제를 안정화하기 위해 여러 정책과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2.중앙집권국가 (1592-1897): 임진왜란 이후, 조선시대는 중앙집권적인 국가 체제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때 왕실의 통치력이 강화되고 관료 제도가 정비되어 실질적인 행정을 담당하는 중앙 관리 체계가 구축되었습니다.

3.세조체제: 1598년에 세조체제(세조 세례)가 도입되어 중앙 집권 체계를 강화하였습니다. 사림(士林): 사림은 문과 출신으로서 관료 직위를 가진 인재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사림들은 정규 시험인 서원회에서 출신지별로 등급이 결정되며, 그 등급에 따라 관직에 배치됩니다.

4.양반 계층 (17세기-19세기): 조선시대의 상류 계층은 양반이라고 불리우며, 지주와 종묘에서 나온 명문 양반들로 구성되었습니다.

5.지주: 토지 소유자로서 자신의 영토 내에서 지방 행정과 경제 활동을 주도했습니다.

6.종묘: 조선왕조의 성골인 종묘에서 나오는 명문 양반들로서 문벌과 예절이 뛰어난 인재들입니다.

7.농민 계층: 조선시대 사회의 하류 계층은 대부분 농민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대다수의 농민들은 작은 부지를 경작하며 생활하였으며, 전세나 착공으로 인한 고통과 부당한 부담을 겪기도 했습니다.

8.의식 및 예절: 조선시대 사회는 예절과 의식에 큰 중요성을 두었습니다.

9.잡례 및 제례: 일상 생활에서 준수해야 할 예절적 절차와 의식입니다.

10.경국대전(經國大典): 왕인(王人)으로서 가져야 할 태도와 예절에 대한 기준이 수록된 서적입니다.

11.양반이 아닌 평민들: 상류 계층인 양반이 아닌 평민들은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면서 생활하였습니다.

12.장사상(商士常): 상인 계급으로 경제 활동 및 상거래를 주로 수행하는 직업군입니다. 기생(妓生) 및 연극 배우 등 다른 분야에서 일하는 평민 계급들 역시 존재했습니다.

 

이렇게 조선시대 과거제도는 귀족 중심의 중앙집권 국가 체제였으며,

양반이라 불리우던 상류 계층과 그 외 평민 계층으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9과는 조선시대 교육 체계에서 학문을 나누는 단위로 사용되었습니다.

이것은 주로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 체계에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1.경국대전 (經國大典): 경국대전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교육서였습니다. 이 책은 성리학적 가르침과 예절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왕실 및 양반 계층의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유학 (儒學): 유학은 성리학과 관련된 학문을 의미합니다. 성리학은 사상, 도덕,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원칙과 가르침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서원(書院)에서 유생들이 공부하며 경시를 준비하는 곳으로 활동했습니다. 서원회(書院會)라는 시험 기관이 설립되어 유생들의 지식 수준과 능력을 평가하였습니다.

3.문과 (文科): 문과는 유학에서 주로 문집(文集) 등의 문학 작품 및 글쓰기 기술에 초점을 맞춘 분야입니다. 문과 출신자들은 사림(士林)으로 불리우며, 정치나 행정 등의 관료 직위를 맡았습니다.

4.무과 (武科): 무과는 전투 기술 및 군사 전략 등 실제 전장에서 필요한 지식을 가르치는 분야입니다. 무관 출신자들은 장군이나 군사 관련 직위를 맡았습니다.

5.음악: 음악도 조선시대 교육 체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악기 연주와 함께 시조와 팔조 등의 시가 작곡 및 부류이론도 합쳐져서 가르쳤습니다.

6.병법: 병법은 의료와 관련된 지식이 포함된 분야입니다. 한의사들이 자신의 지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병법 시험이 있었습니다.

7.호읍 (戶邑): 호읍은 토지 조사와 관련된 분야로, 형태적인 요소인 호와 토토제도 등에 대해 배우게 되었습니다.

8.자재: 자재는 예비 과목으로 여러 종류의 과목 중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예를 들어, 글짓기, 그림 그리기, 목공예 등 다양한 기술적인 영역이 포함됩니다.

9.방람: 방람은 여러 종류의 독서 활동으로 구성된 분야입니다. 소설이나 역사 서적 같은 다양한 장르와 내용을 탐구하고 연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9과는 당시 조선시대 교육 체계에서 각각 다른 학문 영역에 해당하는 단위로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728x90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과 곤충의 생태계 적 중요성  (0) 2023.10.11
식초의 효능  (2) 2023.10.11
음치 교정 가능하나요  (2) 2023.10.10
보석과 다이아몬드  (1) 2023.10.10
재활용 분리수거 환경 보호  (2) 2023.10.10